⑤ 키를 사용해 딕셔너리의 항목에 접근할 수 있다.
㉠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고 대괄호 안의 키를 통해 접근하는 방법이 있다.
1
2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print(영한사전[1])
|
cs |
㉡ get() 메서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완전히 동일한 결과를 구할 수 있다.
1
2
3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print(영한사전.get(1))
|
cs |
⑥ 다음은 딕셔너리에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.
㉠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고 제일 뒤에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이다.
1
2
3
|
가격표 = {"name":"포카칩"}
가격표["가격"]=2000
print(가격표)
|
cs |
㉡ update() 메서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완전히 동일한 결과를 구할 수 있다.
1
2
3
|
가격표 = {"name":"포카칩"}
가격표.update({"가격":2000})
print(가격표)
|
cs |
⑦ 다음은 딕셔너리에 항목을 수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.
㉠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고 항목을 수정하는 방법이다.
1
2
3
|
이름표 = {"name":"홍길동"}
이름표["name"]="넙치"
print(이름표)
|
cs |
㉡ update() 메서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완전히 동일한 결과를 구할 수 있다.
1
2
3
|
이름표 = {"name":"홍길동"}
이름표.update({"name":"넙치"})
print(이름표)
|
cs |
⑧ 다음은 딕셔너리의 항목을 삭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.
㉠ pop() 메서드를 이용해 딕셔너리에서 항목을 삭제할 수 있다.
1
2
3
|
도서목록 = {110:"홍길동전", 111:"노인과 바다", 112:"오만과 편견"}
도서목록.pop(111)
print(도서목록)
|
cs |
㉡ popitem() 메서드를 이용해 제일 뒤에 있는 항목을 삭제한다.
1
2
3
|
도서목록 = {110:"홍길동전", 111:"노인과 바다", 112:"오만과 편견"}
도서목록.popitem()
print(도서목록)
|
cs |
㉢ del 키워드를 이용해 pop()과 같은 결과를 구할 수 있다.
1
2
3
|
도서목록 = {110:"홍길동전", 111:"노인과 바다", 112:"오만과 편견"}
del 도서목록[111]
print(도서목록)
|
cs |
㉣ clear() 메서드를 이용해 딕셔너리를 빈 딕셔너리(Empty dictionary)로 만들 수 있다.
1
2
3
|
도서목록 = {110:"홍길동전", 111:"노인과 바다", 112:"오만과 편견"}
도서목록.clear()
print(도서목록)
|
cs |
⑨ 다음은 딕셔너리를 복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.
㉠ copy() 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할당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직접 값을 이용하는 것(Call by value)이 아닌 다른 변수를 참조(Call by reference)하기 때문에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.
1
2
3
4
5
|
A = {110:"홍길동전", 111:"노인과 바다", 112:"오만과 편견"}
B = A
B[113]="반지의 제왕"
print(A)
print(B)
|
cs |
㉡ copy()는 딕셔너리를 통째로 복사해서 반환한다.
ⓐ 다음을 입력해보자.
1
2
3
4
5
|
A = {110:"홍길동전", 111:"노인과 바다", 112:"오만과 편견"}
B = A.copy()
B[113]="반지의 제왕"
print(A)
print(B)
|
cs |
㉢ dict() 메서드를 이용해 copy()메서드와 동일한 결과를 만들 수 있다.
ⓐ 다음을 입력해보자.
1
2
3
4
5
|
A = {110:"홍길동전", 111:"노인과 바다", 112:"오만과 편견"}
B = dict(A)
B[113]="반지의 제왕"
print(A)
print(B)
|
cs |
⑩ keys() 메서드를 사용하면 딕셔너리 내의 모든 키들을 리스트의 형태로 반환해 준다.
1
2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print(영한사전.keys())
|
cs |
⑪ values() 메서드는 딕셔너리 내의 모든 값을 리스트의 형태로 반환한다.
1
2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print(영한사전.values())
|
cs |
⑫ itmes() 메서드는 딕셔너리 내의 모든 항목을 튜플의 형태로 반환한다.
1
2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print(영한사전.items())
|
cs |
⑬ 키와 값은 쌍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메서드로 만들어진 키, 값, 항목 리스트는 딕셔너리에서의 변화를 반영한다.
㉠ keys() 메서드로 만들어진 키 리스트는 딕셔너리에서의 변화를 반영한다.
1
2
3
4
5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x = 영한사전.keys()
print(x)
영한사전[4]="four"
print(x)
|
cs |
㉡ values() 메서드로 만들어진 값 리스트는 딕셔너리에서의 변화를 반영한다.
1
2
3
4
5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x = 영한사전.values()
print(x)
영한사전[4="four"
print(x)
|
cs |
㉢ items() 메서드로 만들어진 항목 리스트는 딕셔너리에서의 변화를 반영한다.
1
2
3
4
5
|
영한사전 = {1 : "one", "!" : "exclamation mark", 3/4 : "three quarter", "사과" : ["apple", "apology"]}
x = 영한사전.items()
print(x)
영한사전[4]="four"
print(x)
|
cs |
'All about Python > 심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생성자와 소멸자 (0) | 2022.10.01 |
---|---|
Python 매개변수 self (0) | 2022.10.01 |
Python 리스트 슬라이싱(Slicing a List) (0) | 2022.06.30 |
루프 제어 continue, break (0) | 2022.05.27 |
Python 리스트 내포(List comprehension) (0) | 2022.05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