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이 글은 chatGPT를 기반으로 작성한 글입니다.
①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운영 체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기 위해 chmod를 사용한다.
② 소유자, 기타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해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특정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.
③ 권한 설정은 세 자리 숫자(A, B, C)로 지정된다.
㉠ 각각 소유자(u), 그룹(g), 기타 사용자(o)에 대한 권한이다.
㉡ 각 자리 숫자는 r, w, x 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다.
ⓐ r, w, x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이진 숫자이고, 0은 권한이 없음을 1은 권한이 있음을 의미한다.
ⓑ 각각의 기호 r, w, x는 r = read permission(읽기 권한), w = write permission(쓰기 권한), x = execute permission(실행 권한) 를 의미한다.
ⓒ r, w, x로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000(=0), 001(=1), 010(=2), 011(=3), 100(=4), 101(=5), 110(=6), 111(=7)로 총 8가지이다.
ⓓ 권한 설정은 세자리 숫자는 000 ~ 777이 될 수 있다.
㉢ 명령어 chmod의 매개변수에 직접 할당할 수 있다.
ⓐ 매개변수 u, o, g에 문자 조합 r, w, x를 이용해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. 이 때, 문자들의 순서는 상관 없다.
ⓑ 매개변수에 빈 값을 전달하면 접근권한이 없다.
ⓒ 접근권한이 000일 때는 매개변수 u, g, o가 아닌 매개변수 a(a = all permission(모든 권한))를 사용하다.
'All about Programming Theori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Linux - 리눅스 설치, 구성 및 기초 명령어 (0) | 2023.03.02 |
---|---|
1. Linux - 오픈 소스 운영 체제란 (0) | 2023.03.02 |
리눅스 - 시스템 호출(System call) (0) | 2023.02.26 |
리눅스 - 계층 구조(Hierarchy Structure) (0) | 2023.02.26 |
리눅스 - 파일의 타입 (0) | 2023.02.26 |